본문 바로가기

중국어번역자료/한국어 문법

고유명사와 전문용어 띄어쓰기

제4절 고유 명사와 전문 용어

 

제48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김양수(金良洙)

  서화담(徐花潭)

  채영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다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고 준

  황보지봉(皇甫芝峰)/황보 지봉

 

  우리나라의 성(姓)과 이름은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고 고유한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독립적인 단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과 이름을 띄어 써야 할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성과 이름은 개별적인 단어이면서 하나의 고유 명사이기도 해서, 성과 이름을 분리하여 생각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의 성은 거의 한 음절로 되어 있어서 직관적으로 한 단어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성과 이름을 붙여 쓰도록 한 것이다. 이름과 마찬가지 성격을 지닌 호(號)나 자(字)가 성에 붙는 형식도 이에 준한다.

 

  홍길동

  전시내(全--­­)

  정송강

  이충무공

  이퇴계

  김매월당

 

  그러나 성과 이름을 혼동할 우려가 있을 때는 띄어 쓸 수 있다. 예컨대 ‘남궁수, 황보영’ 같은 성명은 ‘남-궁수, 황-보영’인지 ‘남궁-수, 황보-영’인지 혼동할 염려가 있으므로, 성과 이름을 분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을 때에는 띄어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규정의 예에서는 ‘남궁, 독고, 황보’와 같이 두 글자 성만을 보였으나, 성과 이름의 경계가 혼동될 여지가 있으면 한 글자 성도 띄어 쓸 수 있다.

 

  선우진

  선우 진(‘선우’씨인 ‘진’)

  선 우진(‘선’씨인 ‘우진’)

 

  한편 성명 또는 성이나 이름 뒤에 붙는 호칭어나 관직명 등은 고유 명사와 별개의 단위이므로 띄어 쓴다. 호나 자 등이 성명 앞에 놓이는 경우도 띄어 쓴다.

 

  홍길동 씨

  홍 씨

  길동 씨

  김철수 군

  김 군

  철수 군

  박선영 양

  박 양

  선영 양

  김선숙 옹

  김 옹

  민수철 교수

  민 교수

  총장 정영수 박사

  율곡 이이

  백범 김구

  사 사장(史社長)

  여 여사(呂女史)

  황희 정승

 

  우리 한자음으로 적는 중국 인명에도 이 항의 규정이 적용된다.

 

  조맹부(趙孟頫)

  소식(蘇軾)

  왕희지(王羲之)

 

  제49항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예를 들어 띄어쓰기의 원칙에 따라 ‘국립 중앙 박물관’을 단어별로 띄어 쓰면 ‘국립’, ‘중앙’, ‘박물관’의 세 단어가 각각 지니고 있는 뜻은 분명하게 나타나지만 그것이 하나의 대상이라는 사실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단위’란 고유 명사를 이루고 있는 구성 요소의 구조적인 묶음을 뜻한다. 단위별로 띄어 쓰는 것이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보다 직관적으로 자연스러운 경우가 많다. 이런 점에서 단위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구성 요소의 묶음이라고 할 수 있다. 단어별로 띄어 쓴 ‘한국 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 병원’보다는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각각의 단위로 파악하여 띄어 쓴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더 자연스럽게 여기는 것이 그러한 예이다.

 

  ‘단위’의 설정은 직관상 자연스러운 띄어쓰기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므로 국어의 의미 해석에 어긋나는 띄어쓰기는 허용되지 않는다.

 

  (원칙) 국립 국어원 기획 연수부 기획 운영과

  (허용) 국립국어원 기획연수부 기획운영과

  (불가) 국립 국어원기획 연수부기획 운영과 등

 

  (원칙) 한국 방송 공사 경영 기획 본부 경영 평가실 경영 평가 분석부

  (허용) 한국방송공사 경영기획본부 경영평가실 경영평가분석부

  (불가) 한국방송공사경영 기획본부 경영평가실경영평가분석부 등

 

  ‘용언의 관형사형+명사’ 혹은 ‘명사+조사+명사’ 형식으로 된 고유 명사도 붙여 쓸 수 있다.

 

  즐거운 노래방 / 즐거운노래방

  부부의 날 / 부부의날

 

  ‘부설(附設), 부속(附屬), 직속(直屬), 산하(傘下)’ 따위는 고유 명사에 속하는 것이 아니므로, 원칙적으로 앞뒤의 말과 띄어 쓴다.

 

  (원칙) 한국 해양 과학 기술원 부설 극지 연구소

  (허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다만, ‘부속 학교, 부속 초등학교, 부속 중학교, 부속 고등학교, 부속 병원’과 같이 교육 기관 등에 딸린 학교나 병원은 하나의 단위로 다루어 붙여 쓸 수 있다.

 

  (원칙) 한국 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 병원

  (허용) 한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한편 고유 명사 가운데는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졌어도 띄어 쓸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산 이름, 강 이름, 산맥 이름, 평야 이름, 고원 이름 등은 굳어진 지명이므로 띄어 쓰지 않는다. 이들은 합성어로서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북한산, 에베레스트산

  영산강, 미시시피강

  소백산맥, 알프스산맥

  나주평야, 화베이평야

  개마고원, 티베트고원

 

 

제50항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함.)

 

  전문 용어란 학술 용어나 기술 용어와 같이 전문적인 영역에서 쓰이는 용어를 말한다. 이러한 전문 용어는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졌더라도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붙여 쓸 만하다. 그렇지만 전문 용어는 전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의미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면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의미 파악이 쉽도록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편의상 붙여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아래의 예들은 모두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전문 용어이다.

 

 

  전문 용어를 확인하려면 국어사전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국어사전에 모든 전문 용어를 실을 수는 없으므로, 국어사전에 실린 전문 용어와 유사한 전문 용어는 등재된 말에 준해 띄어쓰기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릎 구부려 서기’는 국어사전에는 실려 있지 않지만, 국어사전에 실려 있는 ‘무릎 대어 돌리기’와 유사한 체육의 동작이므로 ‘무릎구부려서기’와 같이 붙여 쓸 수 있다.

 

  한편 전문 용어 가운데는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라도 띄어 쓸 수 없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한자로 된 고전 책명은 띄어 쓰지 않는다. 이들은 합성어로서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것이거나, 구(句)라고 하더라도 띄어 쓰는 것이 별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양의 고전 또는 현대 책명이나 작품명은 구와 문장 형식인 경우 단어별로 띄어 쓴다.

 

  분류두공부시언해, 동국신속삼강행실도, 번역소학(한문 고전 책명)

  베니스의 상인(서양의 고전 작품명)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현대의 책명)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서양의 현대 작품명)

 

  관형사형이 체언을 꾸며 주는 구조, 두 개 이상의 체언이 조사로 연결되는 구조의 전문 용어도 붙여 쓸 수 있다.

 

  따뜻한 구름 / 따뜻한구름

  강조의 허위 / 강조의허위

 

  한편 두 개 이상의 전문 용어가 접속 조사로 이어지는 경우는 전문 용어 단위로 붙여 쓸 수 있다.

 

  자음 동화와 모음 동화 / 자음동화와 모음동화